본문 바로가기
음악기초이론

음악기호 & 용어설명 2 (보표 - 마디, 줄)

by sangpiano 2024. 12. 19.
728x90
반응형
SMALL

 
안녕하세요 "음악 기초 이론" 셋째 시간입니다. (오랜만에 올리네요..ㅎㅎ)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악보를 구성하는 기초 용어에 대한 설명의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간결하고 쉽게 그리고 예제로 설명드리겠습니다. 빠르게 진행해 봅시다~!
 
공감가시는 분들이 있다면 응원의 하트와 댓글, 가능하시다면 구독까지 부탁드립니다.
 

보표(마디 & 줄)

보표(오선, Staff)

 
  음악기초이론 지난 시간에는 보표의 줄과 칸, 높은/낮은음자리표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보표 중에서도 마디와 줄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왼쪽부터 하나하나씩 봅시다.
 
마디(Bar) : (세로) 줄과 (세로) 줄 사이를 구분 지을 때 사용
세로줄(Bar Line) : 보표에서 마디를 구분하기 위해 그은 수직선
겹세로줄(Double bar Line) : 조나 박자가 바뀔 때 사용
도(되)돌이표(Repeat Mark) : 악보의 전체 또는 한 부분을 한 번 더 연주할 때 사용
끝세로줄(End bar Line) : 곡이 끝날 때 사용
시스템(System) : 보표 한 줄의 기본 명칭으로 사용
 
배운 내용을 토대로 하여 위의 보표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위의 악보는 1 System으로 4개의 마디와 세로줄, 겹세로줄, 도돌이표, 끝세로줄을 포함하여 4개의 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여러 좋은 악보들이 있지만 저작권 관련하여 이슈가 될 수 있기에 아래의 (자작곡) 예시를 보며 더 이해가 잘 될 수 있게 직접 문제를 풀어보면서 익혀보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먼저 악보를 봐봅시다. 오늘 배운 마디, 세로줄, 겹세로줄, 도돌이표, 끝세로줄, 시스템을 찾으면서 각자의 역할에 대해 알아봅시다.
괄호 채우기 문제입니다.

낯섦(주님만을) - 상상건반 악보

Quiz.

  1. 위의 곡은 총 (     ) 개의 System으로 구성되어 있다.
  2. (              )은 보표 한 줄의 기본 명칭으로 사용됩니다.
  3. 위의 곡은 각 System마다 균등하게 각각 (        ) 개의 마디와 (        ) 개의 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 마디는 (   ) (   ) 사이를 구분 지을 때 사용된다.
  5. 세로줄, 겹세로줄, 도돌이표, 끝세로줄은 모두 줄에 (포함 / 미포함) 된다.
  6. 위의 곡은 겹세로줄이 (있다 / 없다).
  7. (              )은 조나 박자가 바뀔 때 사용된다.
  8. 도돌이표는 악보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을 (              ) 연주할 때 사용된다.
  9. 곡이 끝날 때 사용되는 줄은 (                 )이다.

 

잠시 쉬어가는 타이밍으로 한 곡 들어볼까요~?


 
아래의 악보는 "박용주, 설경욱 -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이라는 곡입니다. 많이 불리는 찬양으로 상상건반 채널을 개설하면서 가장 먼저 편곡을 적용해 본 찬양입니다. 보통 C Scale(다장조)가 기본 장조가 되는데 편곡을 목적으로 Bb Scale에서 C Scale로 올려봤습니다.
 
여기서 Point~!
 
위에서 설명드린 용어 중에 겹세로줄 기억하시죠? 아래의 악보에는 겹세로줄이 쓰이는 2가지 경우를 모두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되새김을 해보면 겹세로줄은 악보에서 '조'나 '박자'가 바뀔 때 사용된다고 했죠. 아래의 악보에서 32~33마디, 33~34마디, 36~37마디에서 보입니다.
 
32~33 마디 구간은 4/4 -> 2/4로 박자가 바뀌었고,
33~34 마디 구간은 2/4 -> 4/4로 박자가 바뀌었고 ,
36~37 마디 구간은 Bb Scale -> C Scale로 Key Up(조옮김)이 되었습니다.
 
나중에 자작곡을 만들거나 다른 악보를 보실 때 겹세로줄의 역할이 잘 표기했는지, 표기되었는지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 편곡 악보 일부

 

 
마지막으로는 하나님 아버지의 마음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들어보시고 은혜가 되셨다면 표현을 해주세요 ㅎㅎ


 
 
이대로 끝내면 아쉬울 것 같아서 하나만 더 알고 가볼까 합니다. 갖춘마디못갖춘마디입니다.
 

사랑하라 - 상상건반 악보 일부

 
이번에도 자작곡입니다 ㅎㅎ 4/4박자의 곡으로 한 마디 안에 4박자가 들어가야 합니다. 갖춘마디인지 못갖춘마디인지의 구분은 처음 도입부를 보시면 됩니다. 그럼 가장 왼쪽의 마디를 살펴봅시다. 한 마디 안에 4박자가 알차게 꽉 찼죠 ㅎㅎ 이것을 우리는 박자가 한 마디 안에 잘 갖춰졌다 하여 갖춘마디라 합니다. 쉽죠? 아 아직 음표에 대하여 잘 모르시는 분이 계실 수도 있지만 일단 여기서는 "가장 왼쪽 마디에 4박자가 알차게 들어갔다." 정도로만 넘어갑시다. 음표에 대한 설명도 차후에 진행할 예정입니다.

송축하리라 - 상상건반 악보 일부

 
위의 악보도 4/4박자의 곡입니다. 4/4박자는 "한 마디에 안에 4분 음표가 4개(더 박자를 쪼개서 4박자를 만들어도 된다) 들어있다."라는 뜻입니다. 가장 맨 왼쪽 도입부를 보면 8분 음표를 제외하고 한 마디가 텅 비어있죠. 이런 경우가 못갖춘마디입니다.
 

Tip.

악보를 안 보고도 갖춘마디와 못갖춘마디를 맞출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 있습니다. 그 방법은 바로 싱어와 세션의 눈치게임입니다. 인트로를 시작으로 싱어가 먼저 치고 들어오거나, 세션이 먼저 나오고 나중에 싱어가 들어온 경우가 못갖춘마디입니다. 제때 안 들어가는 특징이 있죠.
 
악보를 보지 않고도 우리 한 문제 풀어봅시다.
 
애국가는 (갖춘마디 / 못갖춘마디)이다.
동~~~~~~~~~~~ 해물과 백두산이 부분에서 '동'이 먼저 치고 나오죠? 
 
갖춘마디인지의 가장 빠른 파악으로는 싱어와 세션이 같이 들어가는지 여부를 보면 됩니다. 가끔 싱어가 들어가야 되는데 제 박자에 제대로 못 치고 들어가게 되는 부분의 60프로 이상이 갖춘마디입니다.
 
"정답은 애국가는 못갖춘마디이다"입니다ㅎㅎ
 
이상으로 오늘의 짧은 강의를 마칩니다. 여러 곡으로 찬양팀 연습시간의 연습시간에 브레이크 타임이나 간단한 음악이론 설명 용도로 팍팍 활용하시고, 여러 곡들을 두고 마디와 세로줄 등등에 대한 분석 그리고, 이 악보는 갖춘마디일까? 못갖춘마디일까? 들어보면서 재미있고 유익하게 배우는 시간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도 파이팅파이팅 하시고,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ㅎㅎ 다음 시간에는 음악기호 설명 3번째 시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유익하고 좋은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Qiuz 정답
1. 7
2. System
3. 4, 4
4. 줄, 줄
5. 포함
6. 없다
7. 겹세로줄
8. 한 번 더
9. 끝세로줄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