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음악 기초 이론" 셋째 시간입니다.
오늘은 지난 내용에 이어, 악보 속 용어들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제를 곁들여 쉽고 빠르게 설명드릴 테니 같이 쓱쓱~ 훑어봐요 :)
공감가시는 분들이 있다면 응원의 하트와 댓글, 가능하시다면 구독까지 부탁드립니다.
음자리표 쉽게 알아보기
음악에서는 소리의 높낮이를 표시하기 위해 오선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음역이 넓은 악기나 보컬의 경우, 하나의 오선만으로는 표현이 부족하기 때문에 높은 음자리표(트레블 클레프)와 낮은음자리표(베이스 클레프)를 함께 사용하는 큰보표(Grand Staff)를 사용합니다.
- 위쪽 오선 → 🎵 높은 음자리표 (주로 오른손, 높은 음역)
- 아래쪽 오선 → 🎵 낮은음자리표 (주로 왼손, 낮은 음역)
- 두 오선 사이를 연결하는 짧은 선 → 바로 "가온도(C4)"가 위치하는 선입니다.
먼저, 건반 계이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내용부터 보시길 권유드립니다.
간단한 피아노 건반의 원리
초보자도 알 수 있는 음악 기초 이론 안녕하세요 이 공간에서는 "음악 기초 이론"을 다루어보고자 합니다.음악 이론이라 해서 엄청난 걸 다루는 것이 아닌, 찬양팀 세션으로, 싱어로 섬기면서
sangpiano2017.tistory.com
가온도(C4)란?
- 가온도(C4)는 이름 그대로 중심이 되는 ‘도’입니다.
- 높은 음자리표의 아래 첫 번째 줄(낮은음자리표의 위 첫 번째 줄과 동일)에 위치한 음으로,
큰보표에서 양쪽의 중심 역할을 하는 기준음이에요.
피아노에서는 가운데 도로 불리며, 건반 중앙쯤에 있는 ‘도’입니다.
Tip.
'C4'는 피아노 88개의 건반에서 왼쪽에서부터 '도(C)'음을 의미합니다. 가장 왼쪽에 있는 '도'를 C1이라 생각했을 때, C4가 피아노 건반 중에 가장 가운데에 있다고 하여 '가온도'가 됩니다.
낮은도(C3)
- '가온도'보다 한 옥타브 낮은 도입니다.
- 낮은음자리표의 둘째 칸에 위치합니다.
- 피아노 기준으로는 가온도(C4) 왼쪽에 있는 도예요.
높은도(C5)
- 가온도보다 한 옥타브 높은 도입니다.
- 높은 음자리표 안에서 셋째 칸에 위치합니다.
- 피아노 기준으로는 가온도 오른쪽에 있는 도예요.
구분 | 이름 | 표기 위치 | 피아노 기준 |
---|---|---|---|
🎯 가온도 | C4 | 높은음자리표와 낮은음자리표 사이 | 건반 중앙 |
🎯 낮은도 | C3 | 낮은음자리표 둘째 칸 | 가온도 왼쪽 |
🎯 높은도 | C5 | 높은음자리표 셋째 칸 | 가온도 오른쪽 |
'둘째 칸, 셋째 칸, 위 첫 번째 줄'과 같은 개념이 궁금하시다면 아래의 글을 먼저 읽어주세요.
음악기호 & 용어설명 1 (보표 - 오선, Staff)
안녕하세요 "음악 기초 이론" 첫째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오늘은 음악의 기초 중에 보표에 들어가는 용어와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어렸을 때 피아노 학원에 다녔더라면 누구나 한 번
sangpiano2017.tistory.com
음자리표와 도의 위치를 정확히 이해하면 악보 읽기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익숙해질 때까지 그림과 건반을 함께 보며 연습해 보세요.
조표, 임시표 개념 알기
조표(Key Signature, 조성 기호)란?
조표는 악보의 맨 앞, 보통 음자리표 오른쪽에 적히며 이 곡이 어떤 조(Key)로 연주되는지를 알려주는 기호입니다.
예를 들어,
- ♯이 하나 붙어 있으면 → G장조 또는 E단조
- ♭이 두 개 붙어 있으면 → B♭장조 또는 G단조
조표는 해당 곡 전체에 영향을 미치며, 특정 음을 연주할 때 반음 올리거나 내리는 규칙을 미리 정해주는 역할을 해요. 위의 사진을 보시면 '시'에 ♭이 적용되어 계이름은 왼쪽부터 '파', '솔', '라', '시♭'이 되겠죠.
장조와 단조에 대해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시간을 가지겠습니다.
📌 조표의 특징
- 한 번 정하면 곡 끝까지 유지 (변경 시, 새 조표가 표시됨)
- 모든 옥타브에 해당 (같은 음 이름이면 어느 위치든 적용)
임시표(Accidental, 일시 변화표)란?
임시표는 악보 중간에 나타나며, 조표와는 달리 특정 음 하나에만 일시적으로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 원래는 파(F)를 치는 곡인데, 어느 마디에서만 파♯(F♯)를 쓰고 싶다면 그 음 앞에 ♯을 붙입니다.
- 해당 마디에서만 적용되며, 마디가 바뀌면 원래대로 돌아옵니다.
- 같은 계이름이라도 8도(1옥타브) 차이가 나면 초기화된다.
- 임시표가 적용된 계이름에 다음 마디 넘어서 붙임줄이 있다면 다음 마디까지 적용된다.
위의 계이름을 왼쪽부터 파악해 보면, '파', '솔♭', '솔', '시#'(도), '시'가 되겠죠.
조표와 임시표에 들어가는 4가지의 음악기호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 샵 (Sharp)
- 음을 반음 올리는 기호입니다.
- 예: 도(C) → 도♯(C♯)
♭ 플랫 (Flat)
- 음을 반음 내리는 기호입니다.
- 예: 라(A) → 라♭(A♭)
♮ 내추럴 (Natural)
- 샵 또는 플랫을 원래 음으로 되돌리는 기호입니다.
- 예: 만약 F♯가 조표로 되어 있는데, 특정 마디에서 F♮로 쓰고 싶을 때 사용.
𝄪 더블 샵 (Double Sharp)
- 음을 두 번(전음) 올리는 기호입니다.
- 도(C) → 도♯(C♯) → 도𝄪(C𝄪) → 실제론 레(D)와 같은 음이 될 수 있음.
𝄫 더블 플랫 (Double Flat)
- 음을 두 번(전음) 내리는 기호입니다.
- 시(B) → 시♭(B♭) → 시𝄫(B𝄫) → 실제론 라(A)와 같은 음이 될 수 있음.
기호 | 이름 | 기능 | 예시 |
---|---|---|---|
♯ | 샵 (Sharp) | 음을 반음 올림 | C → C♯ |
♭ | 플랫 (Flat) | 음을 반음 내림 | A → A♭ |
♮ | 내추럴 (Natural) | 샵 또는 플랫을 원래 음으로 복귀 | F♯ → F♮ |
𝄪 | 더블 샵 (Double Sharp) | 음을 전음(반음 2개) 올림 | C → C♯ → 𝄪 → D |
𝄫 | 더블 플랫 (Double Flat) | 음을 전음(반음 2개) 내림 | B → B♭ → 𝄫 → A |
Tip!
- 임시표는 그 마디 안에서만 적용됩니다. 마디가 바뀌면 다시 조표대로 돌아가요.
(단, 붙임줄로 이어진다면 다음 마디까지 적용되고, 옥타브 차이가 나면 임시표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 조표가 있는 상태에서도, 임시표를 써서 일시적으로 조표를 무시하거나 변형할 수 있습니다.
- 더블샵과 더블플랫은 클래식 음악이나 고급 악보에서 주로 등장하며, 초보자 단계에선 자주 보진 않아요.
Quiz!
위의 큰보표에서 동그라미 1, 2, 3, 4의 내용을 확인하여 정확한 계이름을 맞춰봅시다.
1. ( ), ( )
2. ( ), ( )
3. ( ), ( )
4. ( ), ( )
정답은 가장 하단에 공개하겠습니다.
아래의 몇 가지 악보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퀴즈는 아래에 계속됩니다.
5. 위의 악보는 다장조(C Scales)의 악보이고, 조표는 ( ) 개, 임시표는 총 ( ) 개 있습니다.
계이름은 ( ) 음이 ( )로 변경되었습니다.
6. 위의 악보는 내림 나장조(Bb Scales)의 악보로, 조표는 악보의 맨 앞에 위치해 있습니다. ( O / X )
다음 시간에 코드의 구성음에 대해서 배울 텐데, 악보 2 system에 D코드가 보입니다. D코드의 구성음은 '레', '파#', '라'음인데 조표를 보면, '시♭', '미♭'만 존재합니다. 조표는 악보 전체의 계이름에 영향을 미치지만, 임시표에 따라 임시적으로 계이름이 변하기도 하고, 코드의 구성음으로 인해 '파#'과 같은 음을 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System은 악보 중에 보표의 줄 전체를 의미합니다. 그럼 위의 악보는 총 3 System으로 이루어져 있겠죠.
7. 위의 악보는 조표가 ( ) 개, 임시표는 ( ) 개가 있습니다.
8. 악보 2 System의 첫마디의 계이름을 읽어보면 왼쪽부터 ( ), ( ), ( ), ( ), ( ), ( ), ( )입니다.
Quiz 정답
1. 레♭, 레♭
2. 레♭, 레
3. 파, 파
4. 파♭, 파♭
5. 0개, 2개, 도, 도#
6. O
7. 3개, 2개
8. 레, 레, 미, 파, 파, 솔, 파
8번 문제의 부가설명을 드리면 조표에 의하면 계이름 '도', '파', '솔' 음이 #이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임시표에 의해서 '파#'음이 파가 되고 그다음 계이름도 같은 마디에 있기에 파#아닌, 파가 됩니다. 여기에 사용된 임시표는 내추럴(원래의 음으로 돌아가기)입니다. 임시표는 한 마디 안에서만 적용되니까 다음 마디의 솔은 조표에 의해 솔#이 되겠죠.
잘 이해가 되지 않으신다면 처음부터 다시 꼼꼼히 읽어보시고, 댓글로 알려주시면 더욱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용어가 낯설다면 아래의 내용부터 천천히 확인하시길 권유드립니다.
간단한 피아노 건반의 원리
초보자도 알 수 있는 음악 기초 이론 안녕하세요 이 공간에서는 "음악 기초 이론"을 다루어보고자 합니다.음악 이론이라 해서 엄청난 걸 다루는 것이 아닌, 찬양팀 세션으로, 싱어로 섬기면서
sangpiano2017.tistory.com
음악기호 & 용어설명 1 (보표 - 오선, Staff)
안녕하세요 "음악 기초 이론" 첫째 시간을 가져보려 합니다.오늘은 음악의 기초 중에 보표에 들어가는 용어와 원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어렸을 때 피아노 학원에 다녔더라면 누구나 한 번
sangpiano2017.tistory.com
음악기호 & 용어설명 2 (보표 - 마디, 줄)
안녕하세요 "음악 기초 이론" 둘째 시간입니다. (오랜만에 올리네요..ㅎㅎ)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서 악보를 구성하는 기초 용어에 대한 설명의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간결하고 쉽게 그리고 예
sangpiano2017.tistory.com
오늘도 파이팅파이팅 하시고, 다음 시간에 또 만나요 ㅎㅎ 다음 시간에는 음악기호 설명 4번째 시간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댓글 부탁드립니다. 유익하고 좋은 정보로 돌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독하시면 다음 글 알림도 편하게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찬양자료 > 음악기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악기호 & 용어설명 5 (박자) (0) | 2025.03.31 |
---|---|
음악기호 & 용어설명 4 (음표, 쉼표, 음표송) (0) | 2025.03.25 |
음악기호 & 용어설명 2 (보표 - 마디, 줄) (2) | 2024.12.19 |
음악기호 & 용어설명 1 (보표 - 오선, Staff) (0) | 2024.06.20 |
간단한 피아노 건반의 원리 (1) | 2024.05.30 |